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7

debian 지역/시간 설정하기 어렵지 않다. sudo dpkg-reconfigure tzdata Asia를 선택하고,   Seoul 을 선택하자. (S를 누르면 S로 시작하는 곳으로 바로 이동한다.) 바로 바뀌었다. 끝. 2025. 3. 1.
rsync로 자동 백업 실행하기 rsync를 활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및 백업 전략1. rsync의 개념과 장점rsync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동기화하는 데 최적화된 강력한 도구입니다. 리눅스를 포함한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파일과 변경된 부분만 전송하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기존의 cp 또는 scp 명령어와 비교했을 때, rsync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집니다.차등 전송: 변경된 파일 또는 데이터만 전송하여 시간과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압축 기능 지원: 데이터 전송 시 압축을 통해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로컬 및 원격 전송 지원: 로컬 디렉토리 간 복사는 물론, 원격 서버와의 데이터 동기화도 가능합니다.유연한.. 2025. 2. 23.
[HA] 구형 선풍기에 sonoff basic 달아 자동화하기 [ 이 글은 21년 7월에 HA 카페에 올렸던 것으로, 개인 자료화 하고자 다시 올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 카페에서 많은 능력자님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기에... 저도 이렇게 글을 올려보려고 합니다. ​ 제가 한 것은, 다름이 아니라 완전히 구형, 즉, 버튼만 있는 선풍기에 sonoff basic을 달아서 밤새 켰다 꺼졌다가 하도록 한 것입니다. 항상 타이머 맞추지만, 꺼지고 나면 더워서 깨는게 약간의 짜증?을 유발시켜서 시작하였습니다. 이 방법이 그나마 최신(?) 리모컨 있는 선풍기보다 낫다는 생각이 드네요. ㅎㅎ 요즘같은 어중간한 밤더위에는 선풍기로도 괜찮은듯 합니다. ​ ​ 제가 가진 선풍기는 수년전에 홈플XX에서 구입한 것입니다. 100% 수동이죠. 리모컨도 없는... ​ 그 선풍기를 뜯어서, .. 2023. 2. 25.
[HA](쓰지마세요!) wifi switch SA-018에 Tasmota 커스텀펌하여 MQTT로 HA 연결하기 [ 이 자료는 22년 4월에 작성하고 Home Assistant 카페에 올렸던 자료이나, 기록을 위해 여기에도 남겨둔다. ] 한동안 적용하여 평가했는데, 이렇게 쓰시면 큰일납니다. 절대 이렇게 쓰지 마시기 바랍니다. ​ 2주 정도 잘 사용하다가 물리 스위치가 안먹어서 다시 뜯어보니 내부 칩이 탄것 같습니다. tasmota 와 esphome으로 둘다 해봤는데 동일 증상이 있습니다. 절대 사용하시면 안될것 같습니다. 순정 상태로 사용하길 권장 드립니다. ​ 추가로 사진 올려드립니다. 혹시나 해서 여러방향으로 해 보았습니다만, 여전히 같은 상황입니다. ​ 1. tasmota 커스텀 펌 2. ESPHome 커스텀 펌 3. 순정사용( 추가로 구입했다는...ㅠㅜ) ​ 3가지 모두 같은 경험을 하였습니다. 증상은, .. 2023.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