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 관련7 별도의 Raspberry pi4에 Zigbee 동글 설치해서 n100 서버에 연결하기 usbipusbip를 사용해서 system 간에 usb를 공유해보자. 이번에는 zigbee usb동글을 라즈베리파이 시스템에 꽂고 실제 zigbee동글의 정보는 n100 미니pc에서 받아서 사용하는 것으로 할 것이다. - 라즈베리파이 : zigbee usb 동글 연결- n100 미니 pc : usbip로 zigbee 정보를 받아서 사용ㅎ함. usbip를 설치하자.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usbip usbip를 사용하여 자동 loading을 위해서는 /etc/modules 파일에 아래의 코드를 추가한다.usbip_coreusbip_host 수동으로 추가할 때는 아래 명령어를 사용한다.sudo modprobe usbip_coresudo modprobe usbip_h.. 2025. 5. 11. debian12에서 wifi 활성화 하기 나의 n100 미니 pc에서는 debian12가 설치된 proxmox를 설치해서 사용중이다. 그런데, 네트워크가 연결이 안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업데이트를 시도해도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하여 업데이트가 되지를 않았다. ChatGPT가 알려준 나의 현재 network 요약이다. 유선 LAN을 통해 들어온 네트워크는 vmbr0의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proxmox가 설치된 debian에는 vmbr0를 통해 192.168.0.4 ip로 연결되어 있다. chatGPT가 알려준 최적의 방법은, 현재에서 wifi network를 열어서 network가 연결된 것처럼 인식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한다. /etc/network/interfaces 파일을 살펴보니, wlp1s0가 man.. 2025. 5. 9. 시스템 사용자 확인 및 ssh 사용자 등록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who # 현재 접속한 사용자를 볼 수 있음w # 현재 접속한 사용자와 실행중인 프로세스 정보를 볼 수 있음cat /etc/passwd #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사용자compgen -u #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사용자ssh 사용자 등록하기sudo adduser 사용자이름 # 시스템에 사용자 등록sudo usermod -aG sudo 사용자이름 # ssh를 사용할 수 있도록 sudo 그룹에 "사용자이름" 사용자를 등록함.sudo usermod -d /원하는/경로 사용자이름 # ssh 접속시 처음 접속하는 dir.를 설정sudo systemctl status ssh # ssh가 active 상태인지 확인sud.. 2025. 3. 3. debian 한글화 설정 파일이나 dir.를 볼 때 한글이 안나오고 아래와 같이 숫자로 표기되어 내용을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우선 locale을 확인하니, LC_CTYPE="C" 가 되어 있다면 한글이 안되도록 된 것입니다. 아래와 같이 locales 를 실행합니다. sudo dpkg-reconfigure locales "ko_KR.UTF-8 UTF-8" 을 찾아서 스페이스바로 선택한 후, Ok를 누릅니다. 다음 ko_KR을 선택하고 Ok를 누릅니다. 아래와 같이 나오면서 종료됩니다. 설정 변경하기 위해 아래의 둘 줄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export LANG=ko_KR.UTF-8export LC_ALL=ko_KR.UTF-8 이제 실행을 하면 한글로 정상적으로 나오게 됩니다.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b.. 2025. 3. 3. 이전 1 2 다음 반응형